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돕는 핵심 금융 상품, 청년도약계좌! 2025년부터는 납입 한도와 정부 기여금이 대폭 확대되어 더욱 매력적인 상품으로 거듭납니다. 정부 기여금이 월 최대 2만 4천원에서 3만 3천원으로 인상되어 연 9% 이상의 높은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5년간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면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 2월 신청 기간과 바뀐 혜택, 가입 조건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일까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금융 상품입니다.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로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과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달 1일부터 말일까지 천 원 단위로 자유롭게 적립하는 방식이 특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을 위한 혜택인 만큼, 나이와 소득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나이 조건: 계좌 개설일 기준으로 만 19세 ~ 34세 이하
- 소득 조건:
- 개인 소득: 직전 과세 기간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 소득 금액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 소득 250% 이하
2025년, 청년도약계좌 혜택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이 대폭 강화됩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부 기여금 확대: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월 최대 3만 3천 원 지원 (9천 원 인상)
-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월 2만 9천 원 지원 (6천 원 인상)
- 총 급여 4,800만 원 이하: 월 2만 5천2백 원 지원 (3천 원 인상)
-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 월 2만 1천 원 지원
- 총 급여 6,000만 원 초과: 기여금 지급 X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 해지 혜택: 만기 5년을 채우지 못하고 해지하더라도, 3년 이상 유지했다면 정부 기여금의 60%를 지급받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
부분 인출 서비스: 2년 이상 적금을 유지한 경우, 원금의 40% 내에서 인출이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 (총 급여) | 변경 전 기여금 (월) | 변경 후 기여금 (월) |
---|---|---|
2,400만원 이하 | 기존 금액 | 33,000원 |
3,600만원 이하 | 기존 금액 | 29,000원 |
4,800만원 이하 | 기존 금액 | 25,200원 |
6,000만원 이하 | 기존 금액 | 21,000원 |
6,000만원 초과 | 기존 금액 | 지급 X |
청년도약계좌, 어떤 혜택이 있나요?
정부 기여금: 매달 납입하는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습니다. 개인 소득에 따라 지원 금액은 달라집니다. 위 표를 참고해주세요.
비과세 혜택: 납입 금액과 정부 기여금에 대한 이자 소득세가 0%로 비과세 적용됩니다.
우대 금리: 저소득 청년에게는 우대 금리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신용 점수 가점: 적금을 성실하게 납입한 경우, 개인 신용 평가 점수에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가점 5점 ~ 최대 10점이 부여됩니다.
적금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가입한 은행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3년은 고정 금리, 이후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현재 (본문 작성 시점 기준) 11개 은행 모두 6% 내외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본 금리는 은행에 따라 3.8%에서 4.5% 수준입니다.
은행별로 추가 우대 금리 혜택도 제공하고 있으니, 본인에게 유리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 은행의 우대 금리 조건은 꼼꼼히 비교해 보세요.
2월 신청 기간 및 방법
2월 신청 기간:
- 가입 신청: 2월 3일 (월) ~ 2월 14일 (금) (평일만 가능)
- 가입 요건 확인: 2월 17일 (월) ~ 2월 19일 (수)
- 1인 가구 계좌 개설일: 2월 20일 (목) ~ 2월 28일 (금)
- 적격자 전체 계좌 개설일: 3월 4일 (화) ~ 3월 14일 (금)
개인 및 가구 소득 확인 절차에 약 2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다음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한은행
- 국민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기업은행
- 농협은행
- 부산은행
- 대구은행
- 전북은행
- 광주은행
- 경남은행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사항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합니다.
2025년부터 확대되는 정부 기여금은 소급 적용되지 않습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의 2025년 정부 기여금 확대 내용과 2월 신청 기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올해부터 혜택이 대폭 강화되면서 1월 신청자 수가 폭증했다고 합니다. 높은 금리 덕분에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하던 청년들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달 최대 금액인 70만 원을 납부하면 좋겠지만, 형편에 따라 40만 원씩이라도 꾸준히 납입하여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혜택을 챙기고 목돈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또는 취급 은행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고양이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 연 24만원 혜택 놓치지 마세요! (2024 최신 정보) (0) | 2025.02.12 |
---|---|
방배 래미안 원페를라 청약 정보 완벽 분석: 분양가, 일정, 경쟁률, 시세차익까지! (0) | 2025.02.12 |
2025년 다자녀 혜택 대폭 확대! 기준 완화 및 지원 정책 완벽 정리 (0) | 2025.02.12 |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 3억 이상 시세차익, 줍줍 기회! (0) | 2025.02.12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방법, 조건, 사용처 완벽 가이드 (2024 최신) (0) | 2025.02.12 |
댓글